본문 바로가기
달윱위키

내일채움공제 신청 자격, 세액공제 내용 등 총정리

by 달윱 2024. 9. 5.
반응형

ⓒ24/7, 늘 해왔던대로/달윱

 

오늘은 중소·중견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진행되는 정부지원사업인 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내일채움공제는 크게 5가지 카테고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ⅰ) 내일채움공제
ⅱ)청년내일채움공제
ⅲ)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ⅳ)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ⅴ)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각각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내가 혜택을 받을 자격을 충족하고 있는지,

차근차근 정리해서 공유드릴테니 필요한 정보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의 사업주와 핵심인력이 함께 적립공제금가입기간에 따라

장기재직한 핵심인력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금하는 공제입니다.

 

중소(중견)기업에서는  내일채움공제를 통해 기업 납입금에 대하여 전액 손금(비용)인정 및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재직자는 만기 시, 본인 납입금의 3배 이상(세전)을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납입금에 대한 근로소득에의 50% (중견기업의 경우 30%) 상당이 감면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답니다!

 

납부는 중소(중견)기업 사업주와 핵심인력(재직자)이 최소 5년간 (매월 34만원 이상), 1만원 단위로 공동 납입하여야 합니다. 납입은 '핵심인력 : 사업주 = 1 : 2이상'의 비율로 납부하여야 한답니다.

  예시: 핵심인력 10만원 + 중소기업 사업주 24만원 (1 : 2.4 비율)

공제부금의 납부는 매월 지정일에 자동이체로 납부하며 지정일은 5일, 15일, 25일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 지정일에 미납된 공제부금은 다음 납부일까지 총 2회에 한하여 자동이체로 수납됩니다.

자동이체가 가능한 은행은 아래 20개 은행이니 참고하세요!

시중은행(8개) 국민, 기업, 신한, 스탠다드차타드, 외환, 우리, 하나, 한국씨티
지방은행(6개) 경남,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제주
특수은행(6개) 농협중앙회, 산업은행, 수협중앙회, 새마을금고, 신협중앙회, 우체국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내용 바로 확인가능한 링크 전달드릴게요!

 

https://www.sbcplan.or.kr/page.do?mCode=B110010000

 

https://www.sbcplan.or.kr/page.do?mCode=B110010000

 

www.sbcplan.or.kr

 

 

 

▶ 청년내일채움공제

다음은 청년내일채움공제입니다. 이는 아쉽게도 2024년부터 지원이 중단되었습니다.

청년과 기업 그리고 정부가 2년간 각 400만원씩 납입하여 만기시 1,2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 제도였는데요.

청년내일저축계좌처럼 다시 시행하게 되면 빠르게 정보 공유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세번째는 청년연계형 내일채움공제 입니다. 이는 앞전에 소개드린 청년내일채움공제가 만기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행됩니다. 2년 납입 만기 후, 연계형으로 가입하면 그때부터 3년간 중소기업 사업주와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을 만기시에 성과보상금 형태로 수령하는 공제입니다.

 

핵심인력(재직자)는 3년간 월14만원씩 총 36개월 간 납입하여 만기시 504만원이 적립되고 기업도 동일하게 납입하는 1:1 형태로 납입하는 제도입니다. 

만기 시, 재직자는 총 1,008만원의 금액을 수령받을 수 있으며 기업이 얻을 수 있는 혜택은 '내일채움공제'와 동일합니다.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에 재직하는 청년근로자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가입기간 5년에 따라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인데요,

 

청년은 5년간 월 12만원씩 총 720만원, 기업은 5년간 월 20만원씩 총 1,200만원, 정부는 3년간 1,080만원을 정립하여 만기시 총 .3,0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당연히 기업에 5년 근속해야겠죠?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마지막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입니다.

청년과 기업은 3년간 600만원(1년차 월 14만원, 2~3년차 월 18만원 납입), 정부는 3년간 600만원을 적립하여 3년 근속 시 1,800만원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각 제도가 비슷한 요건에 있지만, 본인이 신청할 수 있는 제도는 조금씩 다를 것 같습니다.

아래 공유드리는 링크를 통해 자세한 내용 확인하시어 중소중견기업에 재직하시는 분들은 혜택받으시기 바랍니다.

https://www.sbcplan.or.kr/main.do?introGbn=01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www.sbcplan.or.kr

 

 


오늘 정보는 여기까지입니다!

또다른 유용한 정보로 돌아올게요 🤍 구독하고 활발하게 정보 얻어가세요~

반응형